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지원금

2024년 2차 청년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신청 총정리

by 무게를견딘소년 2024. 6. 25.
반응형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임대주택 신청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매입임대주택은 저렴한 임대료와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여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해 보세요.

 

2024년 2차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임대주택 신청 총정리


1. 매입임대주택이란?

LH 청약플러스 바로가기

1.1. 개념과 장점

매입임대주택은 정부가 매입한 주택을 무주택자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하여 주거 안정을 지원하는 공공임대주택의 한 유형입니다. 매입임대주택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정성과 경제성입니다.

 

주요 장점

  • 저렴한 임대료: 시세 대비 30%~50% 저렴한 임대료로 주거비 부담을 줄입니다.
  • 장기간 거주 가능: 최대 10년 이상 거주할 수 있어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합니다.
  • 우수한 입지: 도심 내 교통과 생활 편의성이 좋은 위치에 주택을 제공하여 생활의 질을 높입니다.
  • 신속한 입주: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 개보수 후 제공하기 때문에 입주까지의 시간이 짧습니다.

매입임대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 신생아 가구 등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계층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1.2. 유형별 특징

매입임대주택은 크게 청년 매입임대주택과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으로 나뉩니다. 각 유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

  • 대상: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대학생, 취업준비생, 19~39세)
  • 임대료: 시세의 40%~50% 수준
  • 거주 기간: 최대 10년
  • 특징: 경제적으로 독립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 대상: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와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가구
  • 임대료: 시세의 30%~40% 수준(Ⅰ유형), 시세의 70%~80% 수준(Ⅱ유형)
  • 거주 기간: 최대 20년(Ⅰ유형), 최대 14년(Ⅱ유형)
  • 특징: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신혼부부와 신생아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1.3. 성공 사례 및 후기

매입임대주택을 통해 성공적으로 주거 문제를 해결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예를 들어, 김철수 씨는 청년 매입임대주택을 통해 저렴한 임대료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신청 절차가 간단하고, 정부 지원 덕분에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다"라고 말합니다.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24년 입주자 모집 물량(안)

구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합계
청년,
신혼·신생아
(수도권)
4,424 4,277 3,519 5,272 17,492
(2,473) (2,397)    

 

청년매입임대 (1,745호)

구분 전체 일룸형 기숙사형
1,745 1,614 131
서울 274 231 43
경기 314 264 50
인천 123 123 -
대전 199 183 16
세종 - - -
광주 81 71 10
부산 168 166 2
대구 54 54 -
울산 - - -
강원 162 154 8
경북 22 20 2
경남 78 78 -
전북 197 197 -
전남 6 6 -
충북 67 67 -
충남 - - -
제주 - - -

* 자세한 위치, 면적 및 임대료 정보는 LH 청약플러스(https://apply.lh.or.kr)에서 확인 가능

 

신혼·신생아 매입임대Ⅰ·Ⅱ (1,399호)

구분 전체 신혼·신생아 I 신혼·신생아 II
소계 ~50㎡ ~85㎡ 소계 ~50㎡ ~85㎡
1,399 1,035 330 705 364 72 292
서울 120 120 75 45 - - -
경기 359 207 56 151 152 42 110
인천 192 82 11 71 110 8 102
대전 13 13 1 12 - - -
세종 - - - - - - -
광주 82 62 15 47 20 5 15
부산 28 28 7 21 - - -
대구 139 139 63 76 - - -
울산 - - - - - - -
강원 150 116 28 88 34 8 26
경북 5 5 3 2 - - -
경남 120 120 39 81 - - -
전북 119 91 23 68 28 7 21
전남 - - - - - - -
충북 60 40 9 31 20 2 18
충남 - - - - - - -
제주 12 12 - 12 - - -

* 자세한 위치, 면적 및 임대료 정보는 LH 청약플러스(https://apply.lh.or.kr)에서 확인 가능

 

 

LH청약플러스

LH청약플러스

apply.lh.or.kr

 


2. 모집 대상과 조건

2.1. 청년 매입임대주택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혼 청년들을 위해 마련된 주거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의 주요 조건과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집 대상

 

  •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
  • 대학생, 취업준비생, 또는 19~39세 청년

임대료와 거주 기간

 

  • 임대료: 시세의 40%~50% 수준으로 저렴하게 제공됩니다.
  • 거주 기간: 최대 10년 동안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습니다.

우선순위

 

  • 1순위: 수급자 가구, 한부모가족, 차상위 계층 가구
  • 2순위: 본인과 부모의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경우
  • 3순위: 본인의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경우

특징

 

  • 경제적 지원: 저렴한 임대료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 생활 편의성: 도심 내 우수한 입지에 위치하여 교통과 생활 편의성이 높습니다.

2.2.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신혼부부와 최근 출산한 가구를 위한 주거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소득 수준과 자녀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모집 대상

 

  •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 모집 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가구
  • 예비 신혼부부, 한부모 가족(6세 이하 자녀 양육 중)

임대료와 거주 기간

 

  • Ⅰ유형: 시세의 30%~40% 수준의 임대료, 최대 20년 거주 가능
  • Ⅱ유형: 시세의 70%~80% 수준의 임대료, 최대 14년 거주 가능

우선순위

 

  • 1순위: 신생아 출산 가구,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 2순위: 미성년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 3순위: 무자녀 신혼부부

특징

 

  • 저출산 대응: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신생아 가구를 우선 지원합니다.
  • 장기 거주 안정성: 최대 20년까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 신혼·신생아 가구 매입임대주택 입주 자격
공급 유형 신청자격 입주순위 자산기준
(단위: 만원)
  총자산 자동차
청년 •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

  * 대학생, 취업준비생, 또는 19~39세
1순위: 수급자 가구, 한부모가구, 차상위 계층 가구 - -
2순위: 본인, 부모 소득 100% 이하 34,500 3,708
3순위: 본인의 소득 100% 이하
신혼 신생아 I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의 신혼부부·신생아 출산 가구*

  * 소득 70%(맞벌이 90%) 이하
  * 국민임대 자산기준 총족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6세 이하 유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1순위: 신생아 출산 가구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34,500 3,708
2순위: 소득 70%(맞벌이 90%) 이하
    예비신혼부부
3순위: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구(6세 이하 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4순위: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5순위: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신혼 신생아 II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의 신혼부부·신생아 출산 가구*

  * 소득 100%(맞벌이 120%) 이하
  * 행복주택입주형 자산기준 총족
*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6세 이하 유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1순위: 신생아 출산 가구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34,500 3,708
2순위: 소득 100%(맞벌이 120%) 이하
    예비신혼부부
3순위: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구(6세 이하 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4순위: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혼인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의 혼인부부

  * 소득 120%(맞벌이 140%) 이하
  * 신혼희망타운 중 공공분양주택
    자산 기준 총족
5순위: 모든 혼인가구 36,200 -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 평균 소득(100%)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2024년 4,179,557 5,957,283 7,198,649 8,248,467 8,775,071

* 1인 가구는 20%p, 2인 가구는 10%p 가산 적용한 금액

 

청년, 신혼·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소득 기준 등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청년 신혼·신생아 가구 I 신혼·신생아 가구 II
소득 기준 100% 이하
(2순위 본인+부모 3순위 본인)
70% 이하
(부부합산 90%)
1~4순위 100% 이하(부부합산 120%)
5순위 120% 이하(부부합산 140%)
주택 유형 오피스텔 등 다가구주택 등 다가구주택 + 아파트·오피스텔
임대료 시세 40%~50% 시세 30%~40% 시세 70%~80%
거주기간 최대 10년 최대 20년 최대 10년 (자가가 있는 경우 최대 14년)

 


3. 신청 절차와 일정

3.1. 신청 방법

매입임대주택 신청은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LH청약플러스 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 지역별로는 각 지방 공사의 누리집에서도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신청 절차의 주요 단계입니다.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LH청약플러스 누리집 또는 각 지역 공사 누리집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로그인합니다.
  2. 모집 공고 확인: 청년,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의 모집 공고를 확인합니다. 공고문에는 모집 대상, 임대료, 입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신청서 작성: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필요한 서류(예: 신분증, 소득 증빙 서류 등)를 스캔하여 첨부합니다.
  4. 서류 제출 및 자격 검증: 신청서와 서류를 제출하면 자격 검증 절차가 진행됩니다. 자격 검증은 소득, 자산, 가족 구성원 등의 조건을 확인합니다.
  5. 결과 발표: 자격 검증 후 결과가 발표됩니다. 발표는 LH청약플러스 누리집 또는 각 지방 공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계약 체결 및 입주 준비: 선정된 후 계약을 체결하고, 입주 준비를 시작합니다.

3.2. 주요 일정

2024년 매입임대주택의 주요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집 공고: 2024년 6월 27일(목)부터
  • 신청 접수: 모집 공고 후, 2024년 7월 초부터 접수 시작
  • 자격 검증 및 결과 발표: 2024년 9월 중
  • 입주 시작: 2024년 10월 초

각 단계별 일정은 LH청약플러스 및 지방 공사 누리집에서 공지되며, 상세 일정은 지역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3.3. 입주 시기

입주는 2024년 10월 초부터 시작되며, 각 신청자들의 자격 검증 및 서류 심사가 완료된 후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신속한 입주를 위해 사전에 필요한 서류와 절차를 꼼꼼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4. 지역별 모집 현황

4.1. 서울

서울 지역에서는 총 994호의 매입임대주택이 모집됩니다.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모집을 주관하며, 모집 공고와 신청 절차는 서울주택도시공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모집 정보

 

  • 모집 호수: 994호
  • 주요 지역: 서울 전역
  • 신청 기간: 2024년 6월 28일부터
  • 결과 발표: 2024년 11월 중
  • 입주 시기: 2024년 12월 말

서울 지역은 교통과 생활 편의성이 뛰어나 많은 청년과 신혼부부들이 선호하는 지역입니다. 조기에 신청을 완료하고 필요한 서류를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2. 수도권

수도권에서는 총 2,397호의 매입임대주택이 모집됩니다. 이 중 서울을 제외한 경기도와 인천 지역에서 모집이 진행되며, 경기도주택도시공사와 인천도시공사가 모집을 주관합니다.

 

경기 지역 모집 정보

 

  • 모집 호수: 1,088호
  • 주요 지역: 경기 전역
  • 신청 기간: 2024년 6월 27일부터
  • 결과 발표: 2024년 9월 중
  • 입주 시기: 2024년 10월 중

인천 지역 모집 정보

 

  • 모집 호수: 315호
  • 주요 지역: 인천 전역
  • 신청 기간: 2024년 6월 27일부터
  • 결과 발표: 2024년 9월 중
  • 입주 시기: 2024년 10월 중

수도권 지역은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아 많은 청년과 신혼부부가 관심을 가지는 지역입니다. 각 지방 공사의 누리집에서 모집 공고를 확인하고, 빠른 신청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4.3. 기타 지역

기타 지역에서도 다수의 매입임대주택이 모집됩니다. 각 지역의 지방 공사가 모집을 주관하며, 모집 공고와 신청 절차는 해당 공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타 지역 모집 정보

 

기타 주요 지역 모집 일정

 

  • 모집 공고: 2024년 6월 27일부터
  • 신청 기간: 모집 공고 후 즉시
  • 결과 발표: 2024년 9월 중
  • 입주 시기: 2024년 10월 중

이 외에도 울산, 강원,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제주 지역에서도 매입임대주택이 모집됩니다. 각 지역별 상세한 정보는 해당 공사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입주자 모집 물량

구분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세종 광주 부산 대구 울산 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제주
호수 994 1,088 315 212 - 163 303 193 - 312 38 198 316 6 127 - 12

 

한국토지주택공사(3,144호)

사업자 사업유형 공급지역
(세부구역)
공급호수 모집공고 신청접수 결과발표 입주일정
한국토지주택공사 청년 매입임대 전국 1,614 6.27 24년 초 24년 중 24년 말
기숙사형 청년주택 전국 131 6.27 24년 초 24년 중 24년 말
신혼·신생아 매입임대 I 전국 1,035 6.27 24년 초 24년 중 24년 말
신혼·신생아 매입임대 II 전국 364 6.27 24년 초 24년 중 24년 말

공고문 게재: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플러스

 

* 각 지역본부별 일정이 상이하오니 자세한 사항은 LH청약플러스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주택도시공사(600호)

사업자 사업유형 공급지역
(세부구역)
공급호수 모집공고 신청접수 결과발표 입주일정
서울주택도시공사 청년 매입임대 서울시 전역 600 (변동가능) 6.28 24년 초 24년 11월 중 24년 12월 말

공고문 게재: 서울주택도시공사 누리집

경기주택도시공사(415호)

사업자 사업유형 공급지역
(세부구역)
공급호수 모집공고 신청접수 결과발표 입주일정
경기주택도시공사 청년 매입임대 15개 시 415 5.24 24년 초 24년 10월 중 24년 11월 중

공고문 게재: 경기주택도시공사 누리집

부산도시공사(107호)

사업자 사업유형 공급지역
(세부구역)
공급호수 모집공고 신청접수 결과발표 입주일정
부산도시공사 청년 매입임대 부산시 전역 74 6.14 24. 6월 말
24. 7월 초
24. 8월 중
24. 10월 중
24. 9월
24. 11월
신혼부부 매입임대II 등 부산시 전역 33 5.3 수시 자격검증 완료 후 당첨자 발표 후

공고문 게재: 부산도시공사 누리집

경상북도개발공사(11호)

사업자 사업유형 공급지역
(세부구역)
공급호수 모집공고 신청접수 결과발표 입주일정
경상북도개발공사 청년 매입임대 구미시 11 5.13 24년 초 24년 8월 중 24년 9월 중

공고문 게재: 경상북도개발공사 누리집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5. FAQ 및 유의사항

5.1. 자주 묻는 질문

Q1: 매입임대주택 신청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A1: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대학생, 취업준비생, 19~39세 청년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와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가구가 신청 대상입니다.

 

Q2: 매입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얼마인가요?

A2: 청년 매입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시세의 40%~50% 수준이며,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시세의 30%~40%(Ⅰ유형) 또는 70%~80%(Ⅱ유형) 수준입니다.

 

Q3: 매입임대주택의 거주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A3: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최대 10년 동안 거주할 수 있으며,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최대 20년(Ⅰ유형) 또는 최대 14년(Ⅱ유형) 동안 거주할 수 있습니다.

 

Q4: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A4: 신청은 LH청약플러스 또는 각 지역 공사의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신청서 작성 후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고, 자격 검증 절차를 거쳐 결과가 발표됩니다.

 

Q5: 자격 검증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A5: 신분증, 소득 증빙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등 각 유형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모집 공고문을 확인하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Q6: 매입임대주택의 유지 관리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A6: 유지 관리 비용은 주택 유형과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보통 임대료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청구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신청 시 제공되는 안내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2. 신청 시 유의사항

 

  • 정확한 정보 입력: 신청서 작성 시 정확한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잘못된 정보 입력으로 인한 불이익은 신청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서류 준비: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여 신청 기간 내에 제출해야 합니다. 서류 미비 시 자격 검증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 기간 준수: 각 지역별로 신청 기간이 다르므로 모집 공고를 확인하고, 기간 내에 신청을 완료해야 합니다.
  • 결과 확인: 자격 검증 후 결과 발표는 LH청약플러스 또는 해당 지방 공사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표일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계약 체결: 결과 발표 후 선정된 경우, 정해진 기간 내에 계약을 체결해야 하며, 계약 체결 후 입주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5.3. 추가 유의사항

 

  • 주변 환경 확인: 신청 전에 주택 주변의 생활 편의 시설과 교통 상황을 확인하여 실제 생활에 불편이 없는지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유지 관리 비용: 유지 관리 비용은 주택 유형과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보통 임대료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청구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신청 시 제공되는 안내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비상 연락처: 입주 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비상 연락처를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24년06월25 청년, 신혼·신생아 올해 두 번째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신청하세요(주거복지지원과)

자료 다운로드하기

240625(석간) 청년, 신혼·신생아 올해 두 번째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신청하세요(주거복지지원과).pdf
0.32MB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관련 유투브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관련 유투브2

 

마치며

매입임대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 신생아 가구 등을 위한 중요한 주거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저렴한 임대료와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여 많은 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안내에 따라 신청 절차를 잘 준비하고, 필요한 서류를 철저히 준비하면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여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하세요!

 

 

민생지원금 25만원 - 최신 정보 및 신청 방법 안내

 

민생지원금 25만원 - 최신 정보 및 신청 방법 안내

민생지원금 25만원 지원정책은 대한민국 전 국민에게 1인당 지급하여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내수 경제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을 촉진하고, 최근 고물

dietmasterplan.tistory.com

 

금융 통신 채무통합 조정 방법 자세히 알아보기

 

금융 통신 채무통합 조정 방법 자세히 알아보기

통신채무와 금융채무는 많은 사람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통합 채무조정 방안을 도입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금융 통신 채무통합 조정의 필요

dietmasterplan.tistory.com

 

기금e든든 사전자산심사 기간 방법 등 주택대출의 모든 것

 

기금e든든 사전자산심사 기간 방법 등 주택대출의 모든 것

주택 구입의 꿈을 이루기 위한 첫걸음, 기금e든든 사전자산심사! 기금e든든 사전자산심사는 주택 구입 및 전세자금 대출 신청자의 자산 상태를 미리 확인하여 대출 승인 가능성을 높여주는 중요

dietmasterplan.tistory.com

 

 

고령자 고용지원금 완벽 가이드 (2024년) - 신청 방법부터 혜택까지

 

고령자 고용지원금 완벽 가이드 (2024년) - 신청 방법부터 혜택까지

한국의 빠른 고령화는 경제적 도전과 노동력 부족을 야기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고령자 고용지원금은 만 60세 이상의 고령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에게 인건비 일부를 지원합니

dietmasterplan.tistory.com

 

2024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인상 - 더 내고 더 받기

 

2024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인상 - 더 내고 더 받기

2024년 국민연금 제도는 어떤 변화를 맞이할까요? 2024년 7월 1일부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이 각각 4.5% 인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인상의 배경, 보

dietmasterplan.tistory.com

 

경남은행 THE든든예금 - 최고의 금리와 혜택 알아보기

 

경남은행 THE든든예금 - 최고의 금리와 혜택 알아보기

경남은행 THE든든예금은 비대면 전용 정기예금 상품으로, 높은 금리와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공하여 고객의 자산 증식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THE 든든 예금의 주요 혜택, 조건, 세제

dietmasterplan.tistory.com

 

내보험찾아줌 - 숨은 보험금을 쉽게 찾고 환급받는 방법

 

내보험찾아줌 - 숨은 보험금을 쉽게 찾고 환급받는 방법

내보험찾아줌 서비스는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통합 조회 시스템입니다. 이 서비스는 국민들이 가입한 모든 보험계약과 숨은 보험금을 한 번에 확인하고 청구할 수

dietmasterplan.tistory.com